추석 성묘 / Chuseok of '25
페이지 정보

작성자 한미감리교회
조회 155회 작성일 25-10-10 14:45
조회 155회 작성일 25-10-10 14:45
본문

지난주에는 시카고를 다녀왔습니다. 시카고한인제일감리교회에서 창립 102주년을 맞아 “말씀 목회의 신학적 근거와 목회적 적용”이라는 주제로 세미나를 열고, 한미연회 목회자들을 초대해 주셔서 다녀오게 되었습니다. 가을 목회로 바쁜 기간이라 망설였지만, 오랫동안 배움의 자리를 등한시했다는 생각에 늦게나마 등록하게 되었습니다. 다녀와 보니 참 잘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귀한 강의들을 통해 많은 배움의 은혜를 누렸고, 제일교회의 따뜻한 환대와 동료 목회자들과의 교제 속에서 마음이 새로워지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제가 자리를 비운 동안 교회를 잘 지켜주신 김성태 목사님께도 진심으로 감사를 드립니다.
마침 갔던 기간이 추석 기간이라 잠시 시간을 내어 성묘를 다녀왔습니다. 시카고에는 저의 아버님, 할머님, 제 동생, 그리고 제 아내의 아버님과 할머님의 묘지가 있습니다. 꽃을 사 들고 교회 묘지를 찾았더니 지난달 암 투병 끝에 세상을 떠나셨다는 집사님의 묘지가 보였습니다. 저와 나이가 같고, 저와 비슷한 때 암이 발견되어 “암 동지”로서 특별히 마음을 다해 기도해 드렸던 기억이 있습니다. 그후 열심히 치료받으시고 다시 일상으로 돌아 가셔서 참 기뻤었는데, 그사이 암이 재발되면서 세상을 떠나셨다는 소식을 듣고 참 마음이 아팠었습니다. 그 때 마음을 생각하며 집사님 묘에 예쁜 꽃 몇 송이를 꽂아 드렸습니다.
그 옆에 보니 10여년전 사산아로 태어난 아이의 묘가 있었습니다. 태어나서 6분을 살고 간 아이였습니다. 사산아로 태어날 것을 알고 태어나자마자 우선 세례를 주고 싶다는 부모의 요청에 하루 종일 병원에서 아이가 태어나길 기다렸던 가슴 저린 기억이 있습니다. 아이의 부모가 타주로 이사를 가서 자주 못 오는 것을 알기에 그 아이의 묘에도 정성스레 꽃 몇 송이를 놓아주었습니다. 그 옆에는 결혼식을 하루 앞두고 사고로 죽은 후배의 묘가 있었습니다. 그 후배의 묘와, 옆에 함께 묻힌 약혼녀의 묘에 예쁜 꽃송이 몇 개를 골라 꽃아 주면서 먼 기억속에서 밀려오는 작은 오열을 간신히 참아냈네요. 거기서 일어서는데 저 만치에 평생을 아내가 불륜으로 낳은 아이를 자신의 아이인 줄 알고 정성으로 키운 집사님의 묘가 보였습니다. 혼자 뚝 떨어져 묻힌 이의 무덤이 외로워 보여 남은 꽃을 다 꽃아 드리고 나니 ... 참, 사연 없는 인생이 없구나 하는 생각을 해 보게 됩니다.
2년전 콜로라도에 오기전 저와 제 아내의 몫으로 받아 놓은 묘자리가 시카고에 있습니다. 그 자리를 찾아 잠시 그 위에 서 보았습니다. 인생이 끝날 때, 어찌 될지 모르지만, 그래도 돌아올 자리가 있다는 것이 은근히 위로가 되더군요. 그 자리에 서서 나는 어떤 사연으로 사람들에게 기억될까 하는 생각을 해 보았습니다. ‘잘 살아야 하는데’ 하는 생각이 화들짝 들더군요.
이번에 시카고에 들렀을 때 밥 사주겠다는 사람이 적지 않은 것으로 봐서 그래도 내가 못 살지는 않았구나 하는 생각에 감사하면서 ... ‘그래, 앞으로도 힘차게 살아 보자’ 하는 다짐으로 제가 묻힐 묘자리를 힘차게 한번 꾹 밟아 주고 왔습니다.
유난히도 밝은 햇살 속에 따듯하고 평온했던 시카고의 추석, 그러는 가운데 콜로라도 스프링스가 더욱 생각났던 25년도의 추석이었습니다.
++++++++++++++++++
Last week, I visited Chicago. The First Korean Methodist Church of Chicago invited pastors from the Korean American Annual Conference to a seminar titled “Theological Foundation and Pastoral Application of the Word-Centered Ministry” in celebration of its 102nd anniversary. Since this is a busy season marking the beginning of fall ministry, I hesitated at first. Yet, realizing how long it had been since I last made time for learning, I decided to register and attend. Looking back, I am truly glad I went. The lectures were enriching, the hospitality of the church was warm, and the fellowship with fellow pastors refreshing. I returned home renewed in body and spirit. I also want to express my sincere thanks to Rev. Daniel Kim for faithfully caring for our church in my absence.
As it happened, my visit coincided with the Chuseok holiday, so I took some time to visit the graves of my family members. In Chicago rest my father, grandmother, brother, and my wife’s father and grandmother. Carrying flowers, I went to the church cemetery and noticed the grave of a church member who had recently passed away after a long battle with cancer. She was about my age and had been diagnosed with cancer around the same time as I was. We often referred to each other as “cancer comrades,” praying for one another with special empathy. I rejoiced when she recovered and returned to normal life, so when I later heard of her passing after a recurrence, I felt deep sorrow. Remembering her, I placed a few flowers at her grave.
Next to it was the grave of a baby who had lived only six minutes after birth, more than ten years ago. The parents knew beforehand that the baby would not survive and had asked me to baptize their child immediately upon birth. I still remember waiting all day at the hospital for that precious, heart-wrenching moment. The parents have since moved to another state, so I knew they couldn’t visit often; I gently placed a few flowers at the baby’s resting place as well.
Nearby was the grave of a younger colleague who died in an accident the day before his wedding.
His fiancée was buried beside him. As I placed a few flowers on their graves, memories long buried stirred in my heart, and I found myself fighting back tears. Then, as I was about to leave, I noticed, at a distance, the grave of a man who had raised a child born from his wife’s affair, believing the daughter to be his own. The solitary grave seemed lonely, so I used the last of my flowers to adorn it. Standing there, I thought to myself, “Truly, no life is without a story.”
Before moving to Colorado two years ago, my wife and I were given our own burial plots in Chicago. I stood on that spot for a while. Though I do not know how or when life will end, it gave me a quiet comfort to know there is a place to return to. As I stood there, I wondered, “How will people remember me when my story is over?”
During this visit, several friends offered to treat me to dinner. Their kindness made me grateful, and it reminded me that perhaps I haven’t lived too badly after all. Smiling, I pressed my foot firmly on my future resting place and whispered to myself, “All right then, let’s keep pressing on!”
It was the Chuseok of 2025 — a warm and peaceful autumn day in Chicago. And in that bright fall sunlight, I found myself thinking even more of Colorado Springs … my new home!
마침 갔던 기간이 추석 기간이라 잠시 시간을 내어 성묘를 다녀왔습니다. 시카고에는 저의 아버님, 할머님, 제 동생, 그리고 제 아내의 아버님과 할머님의 묘지가 있습니다. 꽃을 사 들고 교회 묘지를 찾았더니 지난달 암 투병 끝에 세상을 떠나셨다는 집사님의 묘지가 보였습니다. 저와 나이가 같고, 저와 비슷한 때 암이 발견되어 “암 동지”로서 특별히 마음을 다해 기도해 드렸던 기억이 있습니다. 그후 열심히 치료받으시고 다시 일상으로 돌아 가셔서 참 기뻤었는데, 그사이 암이 재발되면서 세상을 떠나셨다는 소식을 듣고 참 마음이 아팠었습니다. 그 때 마음을 생각하며 집사님 묘에 예쁜 꽃 몇 송이를 꽂아 드렸습니다.
그 옆에 보니 10여년전 사산아로 태어난 아이의 묘가 있었습니다. 태어나서 6분을 살고 간 아이였습니다. 사산아로 태어날 것을 알고 태어나자마자 우선 세례를 주고 싶다는 부모의 요청에 하루 종일 병원에서 아이가 태어나길 기다렸던 가슴 저린 기억이 있습니다. 아이의 부모가 타주로 이사를 가서 자주 못 오는 것을 알기에 그 아이의 묘에도 정성스레 꽃 몇 송이를 놓아주었습니다. 그 옆에는 결혼식을 하루 앞두고 사고로 죽은 후배의 묘가 있었습니다. 그 후배의 묘와, 옆에 함께 묻힌 약혼녀의 묘에 예쁜 꽃송이 몇 개를 골라 꽃아 주면서 먼 기억속에서 밀려오는 작은 오열을 간신히 참아냈네요. 거기서 일어서는데 저 만치에 평생을 아내가 불륜으로 낳은 아이를 자신의 아이인 줄 알고 정성으로 키운 집사님의 묘가 보였습니다. 혼자 뚝 떨어져 묻힌 이의 무덤이 외로워 보여 남은 꽃을 다 꽃아 드리고 나니 ... 참, 사연 없는 인생이 없구나 하는 생각을 해 보게 됩니다.
2년전 콜로라도에 오기전 저와 제 아내의 몫으로 받아 놓은 묘자리가 시카고에 있습니다. 그 자리를 찾아 잠시 그 위에 서 보았습니다. 인생이 끝날 때, 어찌 될지 모르지만, 그래도 돌아올 자리가 있다는 것이 은근히 위로가 되더군요. 그 자리에 서서 나는 어떤 사연으로 사람들에게 기억될까 하는 생각을 해 보았습니다. ‘잘 살아야 하는데’ 하는 생각이 화들짝 들더군요.
이번에 시카고에 들렀을 때 밥 사주겠다는 사람이 적지 않은 것으로 봐서 그래도 내가 못 살지는 않았구나 하는 생각에 감사하면서 ... ‘그래, 앞으로도 힘차게 살아 보자’ 하는 다짐으로 제가 묻힐 묘자리를 힘차게 한번 꾹 밟아 주고 왔습니다.
유난히도 밝은 햇살 속에 따듯하고 평온했던 시카고의 추석, 그러는 가운데 콜로라도 스프링스가 더욱 생각났던 25년도의 추석이었습니다.
++++++++++++++++++
Last week, I visited Chicago. The First Korean Methodist Church of Chicago invited pastors from the Korean American Annual Conference to a seminar titled “Theological Foundation and Pastoral Application of the Word-Centered Ministry” in celebration of its 102nd anniversary. Since this is a busy season marking the beginning of fall ministry, I hesitated at first. Yet, realizing how long it had been since I last made time for learning, I decided to register and attend. Looking back, I am truly glad I went. The lectures were enriching, the hospitality of the church was warm, and the fellowship with fellow pastors refreshing. I returned home renewed in body and spirit. I also want to express my sincere thanks to Rev. Daniel Kim for faithfully caring for our church in my absence.
As it happened, my visit coincided with the Chuseok holiday, so I took some time to visit the graves of my family members. In Chicago rest my father, grandmother, brother, and my wife’s father and grandmother. Carrying flowers, I went to the church cemetery and noticed the grave of a church member who had recently passed away after a long battle with cancer. She was about my age and had been diagnosed with cancer around the same time as I was. We often referred to each other as “cancer comrades,” praying for one another with special empathy. I rejoiced when she recovered and returned to normal life, so when I later heard of her passing after a recurrence, I felt deep sorrow. Remembering her, I placed a few flowers at her grave.
Next to it was the grave of a baby who had lived only six minutes after birth, more than ten years ago. The parents knew beforehand that the baby would not survive and had asked me to baptize their child immediately upon birth. I still remember waiting all day at the hospital for that precious, heart-wrenching moment. The parents have since moved to another state, so I knew they couldn’t visit often; I gently placed a few flowers at the baby’s resting place as well.
Nearby was the grave of a younger colleague who died in an accident the day before his wedding.
His fiancée was buried beside him. As I placed a few flowers on their graves, memories long buried stirred in my heart, and I found myself fighting back tears. Then, as I was about to leave, I noticed, at a distance, the grave of a man who had raised a child born from his wife’s affair, believing the daughter to be his own. The solitary grave seemed lonely, so I used the last of my flowers to adorn it. Standing there, I thought to myself, “Truly, no life is without a story.”
Before moving to Colorado two years ago, my wife and I were given our own burial plots in Chicago. I stood on that spot for a while. Though I do not know how or when life will end, it gave me a quiet comfort to know there is a place to return to. As I stood there, I wondered, “How will people remember me when my story is over?”
During this visit, several friends offered to treat me to dinner. Their kindness made me grateful, and it reminded me that perhaps I haven’t lived too badly after all. Smiling, I pressed my foot firmly on my future resting place and whispered to myself, “All right then, let’s keep pressing on!”
It was the Chuseok of 2025 — a warm and peaceful autumn day in Chicago. And in that bright fall sunlight, I found myself thinking even more of Colorado Springs … my new home!
- 이전글평생 배움 / Lifelong Learning 25.10.17
- 다음글빛나는 아스펜 / Shining Aspens 25.10.04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